반응형
HTML의 disabled 속성은 폼 요소를 비활성화(disable)하는 데 사용된다.
이 속성을 사용하면 사용자는 해당 폼 요소를 편집할 수 없으며, 해당 요소는 사용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.
disabled 속성은 주로 버튼, 입력 필드, 선택 상자 등과 함께 사용된다.
disabled 속성을 사용하면 사용자는 해당 요소를 클릭하거나 키 입력을 할 수 없으며, 해당 요소의 외관도 일반적으로 비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된다.
이는 사용자가 해당 요소를 조작하지 못하도록 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거나 특정 상황에서 임시로 사용을 제한하는 데 유용하다.
다음은 disabled 속성을 사용한 예제입니다:
반응형
<!DOCTYPE html>
<html>
<body>
<h2>Disabled Example</h2>
<input type="text" value="Disabled Input" disabled><br><br>
<button type="button" disabled>Disabled Button</button><br><br>
<select disabled>
<option value="1">Option 1</option>
<option value="2">Option 2</option>
<option value="3">Option 3</option>
</select>
</body>
</html>
위의 예제에서는 input 요소, button 요소, select 요소에 disabled 속성이 적용되어 있다.
결과적으로 이러한 요소들은 비활성화되어 사용자가 편집하거나 클릭할 수 없다.
잊지말고 기억하자!
반응형
'DEV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ORACLE] LOCK 확인 및 해제 (0) | 2023.06.19 |
---|---|
[ORALCE] DDL, DML, DCL, TCL 이란? (0) | 2023.06.19 |
[CSS] display 속성 block/none (0) | 2023.05.17 |
[기타] JAVA vs C++ TCP 통신 차이 (0) | 2023.05.12 |
[JAVASCRIPT] switch ~ case 조건문에 대하여 + 예제 (0) | 2023.05.09 |